17088. 등차수열 반환
rlaehddnd0422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088 17088번: 등차수열 변환 크기가 N인 수열 A = [A1, A2, ..., AN]이 있을 때, 모든 1 ≤ i < N에 대해서, Ai+1-Ai가 모두 일치하면 등차수열이라고 한다. 예를 들어, [3], [6, 6, 6], [2, 8, 14, 20], [6, 4, 2]는 등차수열이고, [4, 5, 4], [6, 3, 1] www.acmicpc.net 등차수열의 성질을 이용한 브루트포스 등차수열의 n번째 항은 A(n) = A(n-1) + D 등차수열의 공차 D는 두번째항에서 첫째항을 빼서 구할 수 있다. 가능한 첫째항은 A[0]-1, A[0], A[0]+1 세 가지가 있고, 가능한 둘째항은 A[1]-1,A[1],A[1]+1 세 가지, 총..